(3월 10일) 이재명, 측근 사망에 법원 위험 재조명 “당황”

민생은 정치적 상황을 되돌리려는 계획을 방해했습니다.




이재명 더불어민주당 대표가 자신이 연루된 의혹과 관련해 검찰이 수사 중인 직원이 숨진 데 대해 검찰이 과도한 압박을 가했다고 비판했다.
검찰이 그를 잡으라고 주변에 부당한 압력을 가해 비극이 일어났다고 한다.
그러나 이 대표는 직원들이 잇달아 사망하는 엄청난 악재 앞에서 난감한 처지에 놓였다.
법정 리스크가 재부상하면서 이 대표의 민생 강화 방안도 물거품이 됐다.

이 의원은 10일 초대 비서실장으로 경기도지사를 지낸 전씨가 전날 숨진 사실에 대해 “검찰이 공직생활에서 자랑스러운 공적을 조작하는 게 얼마나 힘들었겠느냐”고 말했다.
이 의원은 경기도 수원시 경기도의회에서 열린 경기도민주당 최고위원 회의에서 “어제 믿을 수 없는 부고를 들었다.
내가 만난 간부 중 가장 정직하고 올곧고 헌신적이며 유능한 간부가 스스로 목숨을 끊었다”고 전 씨는 이 대표가 연루된 ‘성남FC에 대한 불법 기부 의혹’으로 검찰 조사를 받았다.

이 의원은 전씨가 “검찰의 강압수사로 힘든 시간을 보내고 있다”고 말했다.
그는 “특검 수사를 받은 사람들이 왜 자꾸 극단적인 선택을 하는가”라며 이 대표가 연설 도중 숨이 막히는 듯 말을 중간에 끊기도 했다.
그는 “한 검사가 그렇게 말했다.
윤석열 검사의 수사 방식은 사냥이다.
목표를 세우고 잡히기 전까지 사냥을 멈추지 않는다”고 말했다.

민주당도 검찰의 비판에 동조했다.
정청래 청장은 최고위급에서 “어제 억울한 죽음이 발생해 안타까운 죽음을 당했다”고 밝혔고, 박찬대 청장은 “윤석열 검찰총장은 강제수사를 철회해야 한다”고 말했다.
그는 댓글을 통해 “검찰의 강제수사가 또 한 사람의 죽음을 낳았다.
“수사냐, 수사냐” “검찰은 이번 사건만 놓고 억지로 수사를 하고 허위 사실을 제공하는 극단적인 결정을 내렸다.
부끄러워해야 한다”고 말했다.
민주당 검찰정치탄압위원회는 성명을 통해 “수단과 방법을 가리지 않고 야당 지도자를 범죄자로 만들려는 검찰의 악랄한 집착이 결국 부끄러운 죽음으로 귀결됐다”고 밝혔다.

이 의원과 더불어민주당의 검찰 총공세는 최대 야당 대표 구속 사건에 대한 검찰의 부당수사를 널리 알리면서 사건의 책임론이 이 대통령에게로 향하는 것을 막기 위한 것이다.
이 의원은 “아무리 비정한 정책이라도 이 억울한 죽음을 정치적 도구로 삼지 말라”고 말했다.
제가 조사를 받는 게 제 잘못입니까?” 박 대변인도 논평을 통해 “고인의 고소는 탄원서까지 왜곡해 정치적 주장에 이용한다.
그것은 사람이 해서는 안 되는 일입니다.

이 대표는 이날 오후 면회 일정을 취소하고 고인의 빈소가 있는 성남시립의료원 조문실을 찾았으나 조문을 하지 못하고 밖에서 오랜 시간 기다려야 했다.
유족들이 조문을 거부했다는 메시지가 나왔다.
이 대표는 예정보다 6시간 이상 늦게 유족을 만나 조문했다.

민주당은 검찰의 부실수사에 주목했지만, 20대 대선 시즌에 이씨 사건 관련자들이 연루되면서 이씨가 정치적 위기에 빠진 것도 사실이다.
전씨 등 이씨 비리 의혹에 연루된 5명이 숨졌기 때문이다.

특히 일부 언론은 전 씨의 유언장에도 “이제 정치에서 손 떼라”고 촉구하는 내용이 담겨 있다고 보도했다.
이 대표는 어떤 이유에서든 추가 피해자를 막아야 한다는 책임론에서 벗어나기 어렵다.

이번 사건은 이 대표의 향후 활동에 적지 않은 영향을 미칠 전망이다.
이 의원은 당초 이날 경기도에서 현장 최고위원회를 열고 민생을 강화할 계획이었다.
구속영장 표결의 충격에서 벗어나 민생문제로 정국을 역전시키려는 시도가 필요하다.
하지만 이번 사건을 계기로 이 대표의 법적 리스크가 다시 한번 명백해졌다.
당내 이 대표 체제에 대한 의문이 커지면서 내부 갈등이 커질 수 있다.